password save
 
 
 
 
 
 

 
연구문헌연구논문 > 상세
  연구문헌 >研究論文 [424092] 원문 :   
논문명   폼페이 주택의 건축 설계를 활용한 이미지 연출에 관한 연구 / Exploring Image Production Through Architectural Design in Pompeii Houses
저자명   김란수(Kim, Ran-Soo)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8(2023-08)
페이지   시작페이지(147) 총페이지(9)
ISSN   2733-6247
주제분류   역사 / 계획 및 설계 
주제어   아트리움; 페리스타일; 이미지 공간; 도무스; 비스타; 사적인; 공적인; 비트루비우스 // Atrium; Peristyle; Bildraum; Domus; Vista; Private; Public; Vitruvius
요약1   본 연구의 목적은 폼페이의 주요 주택을 건축 요소를 활용한 이미지 연출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할 폼페이 주택의 사례 연구로 Casa del Chirurgo, Casa di Sallustio, Casa de Ceii, Casa del Menandro, Casa del Fauno, Casa dei Vettii, Casa del Poeta Tragico를 선정하였다. 본문에서는 우선 배경지식을 위해 폼페이의 도시건축 역사를 간략히 소개했고, 폼페이 주택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대표적인 두 가지의 공간 구성 유형과 각 공간 명칭을 소개했다. 그리고 본론에서는 건축 요소를 활용한 이미지 연출 개념을 다음과 같이 나누어 분석했다: 주택 외벽을 활용한 도시 공공성 연출, 파우케스의 긴 통로를 통한 정형성과 정통성 연출, 대칭축을 조성하여 공간 질서와 개방성 연출, 그리고 아트리움의 업무적 이미지와 페리스타일의 향락적 분위기 연출. 결론적으로, 집의 가장과 외부인 모두의 전망 요구를 반영하는 건축 요소를 활용한 이미지 연출 전략이 있었다. 다시 말해, 폼페이 주택을 통해서 건축주는 외부 일반 대중에게는 공적인 책임에 대한 의무를 시사하면서도, 동시에 내부적으로는 화려한 세속적인 생활을 누리고, 문화적인 자기 정체성을 사적으로 드러내려는 이중성을 이미지 연출 설계를 통해 교묘하게 달성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요약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in houses of Pompeii through image production using architectural design. Casa del Chirurgo, Casa di Sallustio, Casa de Ceii, Casa del Menandro, Casa del Fauno, Casa dei Vettii, and Casa del Poeta Tragico were selected as case studies. Initially, a succinct historical overview of urban architecture in Pompeii was provided to lay the groundwork. Subsequently, two representative types of spatial composition and the corresponding names of each space were introduced to help with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Pompeii’s houses. The concept of image production using architectural design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following ideas as the urban publicity using the outer wall of the house, the formality and authenticity embodied in the long passage of the fauces, the establishment of spatial order and openness through a symmetrical axis, and the creation of a business-oriented atmosphere in the atrium alongside the hedonistic ambiance of the peristyle. In conclusion, the findings revealed an image-producing strategy using architectural design that reflected the perspectives and needs of both the paterfamilias and external observers of the house.
소장처   대한건축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