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연구문헌 >研究論文 [424101]
|
원문 :
|
|
논문명 |
구조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스플라이스 슬리브의 리브 및 길이에 관한 해석적 연구 / Analytical Study on Ribs and Lengths of Splice Sleeve Influencing Structural Performance |
저자명 |
이상섭(Lee, Sang-Sup) ; 부윤섭(Boo, Yoon-Seob) ; 신상민(Shin, Sang-Min) |
발행사 |
대한건축학회 |
수록사항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8(2023-08) |
페이지 |
시작페이지(235) 총페이지(9) |
ISSN |
2733-6247 |
주제분류 |
구조 / 재료 |
주제어 |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 리브 간격; 리브 단면 형상; 슬리브 길이; 유한요소해석 // Hybrid splice sleeve; Spacing of rib; Profile of rib; Length of sleeve; Finite element analysis |
요약1 |
이 연구는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의 리브와 길이가 철근이음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유한요소해석에 관한 것이다. 나사식과 그라우트식이 혼합된 기계식 이음 방식인 원통형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는 재질이 SM45C이고, 내경이 31.2 mm이며, 두께가 4.3 mm로 선반 가공으로 제작되었다. 해석에 사용된 철근의 강종은 SD600 D22이었고, 그라우트의 강도는 100 MPa이었다. 해석은 Abaqus/Explicit을 사용하였고, 철근의 비선형 거동과 파단을 모사하기 위해 진응력과 연성 손상 조건이 포함된 재료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철근-그라우트-슬리브 사이의 접촉 상태를 모델링하기 위해 지수함수로 표현되는 면압-과밀착 관계와 운동 마찰을 적용하였다. 해석변수는 슬리브 리브의 간격 및 단면 형상, 그리고 슬리브의 길이이었다. 해석결과 철근이 파단되는 파괴모드를 얻기 위해 슬리브 리브 간격은 철근 리브 간격의 2배 이하로 하고, 슬리브의 길이는 철근 정착길이가 6.0d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였으며, 슬리브 리브 형상은 반원형, 사다리꼴, 직사각형의 순서로 슬리브-그라우트 사이의 슬립에 저항하는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요약2 |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performance of mechanical rebar splices is impacted by the ribs and length of hybrid sleeves, utilizing
the finite element (FE) method. The cylindrical hybrid splice sleeve is crafted through machining, composed of SM45C material, featuring an
inner diameter of 31.2 mm and a thickness of 4.3 mm. In the FE models, the rebar’s steel grade is SD600 with a diameter of 22 mm
(D22), while the grout’s compressive strength is set at 100 MPa. To simulate the nonlinear behavior and fracture of the rebars, the analysis
employs the true stress-strain relationship and ductile damage conditions. Moreover, contact interactions between the rebar, grout, and sleeve
surfaces are modeled in Abaqus/Explicit using an exponential pressure-overclosure relationship and kinetic friction. The analysis parameters
under scrutiny encompass the spacing and profile of the sleeve rib and the sleeve length. Results indicate that the sleeve rib spacing should
not exceed twice the rebar rib spacing, and the sleeve length should be more than 6.0d to induce rebar fracture as the failure mode. When
considering the profile of the sleeve rib, the ability to resist slippage between the sleeve and grout is most effective in the sequence of
semicircular, trapezoidal, and rectangular shapes. |
소장처 |
대한건축학회 |
|
|
|